- Published on
화류계 용어 심층 분석 보고서
- Authors
- Name
- 기술 라이브러리
1. 서론
‘화류계(花柳界)’는 한국 사회에서 유흥 및 향락 산업 전반을 포괄하는 용어로, 종종 성인 엔터테인먼트와 관련된 업소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이 용어는 단순한 유흥 공간을 넘어, 그 안에서 통용되는 특수한 어휘 체계를 포함하며, 이는 해당 하위문화의 사회적 역동성과 미묘한 뉘앙스를 반영한다.
본 보고서는 한국 문화 및 사회학 연구자들에게 필수적인 화류계 용어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제공된 연구 자료를 기반으로 화류계 용어의 정의, 기원, 맥락적 사용을 종합적으로 탐구하여 이 특정 어휘가 한국 사회의 단면을 어떻게 드러내는지 밝히고자 한다.
2. 화류계의 역사적 및 문화적 맥락
2.1. 화류계의 어원과 기원
‘화류계’라는 용어는 한자 ‘화(花)’와 ‘류(柳)’가 결합된 것으로, 직역하면 ‘꽃과 버드나무의 세계’를 의미한다. 흔히 여성의 아름다움을 꽃에 비유하는 데서 유래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지만, ‘버드나무’가 포함된 이유는 일본어에서 그 어원을 찾는 것이 정설이다.
1589년 일본에서 처음 등장한 ‘유곽(遊廓)’이라 불리는 집창촌이 화류계의 기원으로 여겨지며 ,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임진왜란 직전 병사들의 성적 욕구를 해소하기 위해 교토의 유곽을 시마바라로 이전한 역사적 사실은 이 용어가 특정 사회적 필요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시사한다.
‘화려하게 둘러싸인’ 유곽의 환경에서 ‘화류계’라는 명칭이 비롯되었다는 설명은 이러한 맥락을 뒷받침한다. 이 용어는 구한말과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한국에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 일제강점기 시대의 문헌에서도 ‘화류계’ 관련 글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이미 당시 사회에서 널리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2.2. 한국 역사와 문화 속의 화류계
한국 문화 속에서 화류계와 유사하거나 선행하는 개념으로는 기생 문화가 존재했다. 일제강점기에 화류계 기생의 애환을 담은 노래인 ‘화류정한(花柳情恨)’이 있었다는 기록은 이 두 개념이 역사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오늘날 ‘화류계’는 술집 등에서 일하는 여성들의 활동 분야를 포괄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자리 잡았으며 , 성매매를 암시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이는 화류계가 단순한 유흥 공간을 넘어 한국 사회의 특정 측면을 반영하는 복합적인 문화적 현상임을 시사한다.
3. 화류계 업소의 유형과 고유 용어
3.1. 룸살롱 (Rum Salon)
룸살롱은 화류계에서 가장 흔한 형태의 업소 중 하나로, 손님은 별도의 방에서 술을 마시며 접대부와 시간을 보낸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다양한 전문 용어들이 사용된다.
- 티씨 (T/C): ‘테이블 차지(Table Charge)’의 약자로, 손님이 접대부를 접대받고 지불하는 봉사료를 의미하며, 성적 서비스에 대한 대가가 아님을 명확히 한다.
- 테이블 손님: 접대부와의 성적 관계를 원하지 않고 술과 대화를 목적으로 룸살롱을 찾는 손님을 지칭한다.
- 캔슬 / 뺀찌: 손님이 마음에 들지 않는 접대부를 돌려보내는 행위를 일컫는 용어이다.
- 지정: 특정 업소에 정기적으로 출근하는 접대부를 의미한다.
- 보도: 업소의 요청을 받고 접대부를 파견하는 에이전시 또는 이러한 서비스를 지칭한다.
- 지명: 단골손님이 특정 접대부를 미리 정하여 찾는 경우를 말한다.
- 작업 / 공사: 접대부가 손님에게 접근하여 돈이나 귀중품 등을 얻어내려는 행위를 비유적으로 표현한다. ‘알고 당하는 공사는 공사가 아니다’라는 속어는 이러한 행위가 때로는 묵인되거나 즐기는 상황도 있음을 시사한다.
- 애프터 / 이차: 업소에서의 술자리가 끝난 후 접대부와 손님이 성적인 관계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 와꾸: 접대부의 외모나 스타일을 나타내는 속어이다.
- 스킨쉽 / 피아노: 손님과 접대부 간의 신체 접촉을 의미하는 은어로, ‘주물탕을 놓다’, ‘피아노 친다’와 같은 표현과 유사한 맥락에서 사용된다.
- 마이킹: 업소에서 접대부에게 미리 지급하는 선불금을 의미하며, 이는 일종의 빚으로 작용하여 접대부가 쉽게 업소를 떠나지 못하게 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 선수: 호스트바에서 여성 손님을 접대하는 남성 종업원을 일컫는 용어이다.
- 에이스: 업소에서 가장 인기 있고 수입이 많은 접대부를 지칭한다. 에이스는 외모, 유흥 능력, ‘뻐꾸기’(비위를 맞추는 말솜씨), ‘슈킹’ 능력 등에 따라 분류되기도 한다.
- 슈킹: 손님을 속여 돈이나 귀중품을 갈취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 쵸이스: 손님이 도착했을 때 여러 명의 접대부를 보여주고 선택하게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 꽁: 하루 종일 손님을 받지 못하고 대기만 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 뒷방탄다: 영업이 끝날 시간쯤 겨우 한 테이블 손님을 받는 경우를 일컫는 속어이다.
- 싸인: 현금 결제 대신 계산서에 서명하고 나중에 결제하는 방식을 말한다.
- 도시락: 룸살롱에 여성을 데리고 오는 손님을 비하하는 표현이다. 출장 성매매를 의미하기도 한다.
- 뻐꾸기 날리다: 주로 도우미에게 농담을 걸거나 화려한 언변을 과시할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 진상: 비상식적인 행동을 하거나 불쾌감을 주는 손님을 지칭한다.
- 1% 업소: 최고급 룸살롱으로, 매우 높은 가격과 모델 출신 등 최상위 수준의 접대부가 있는 곳을 의미한다.
- 10% / 20% 업소: 업소에서 접대부의 테이블 차지 중 각각 10% 또는 20%를 가져가는 시스템을 가진 룸살롱을 의미하며, 접대부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에게 더 많은 몫이 돌아오는 10% 업소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 따블 / 따당: 에이스급 접대부가 여러 테이블의 손님을 동시에 접대하는 것을 의미한다.
- 쩜오: 10%와 20% 업소의 중간 정도 수준을 의미하는 용어로 추정되며, 15% 수수료율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개그 프로그램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 쓰리 따블: 한 명의 접대부가 동시에 세 개의 방을 접대하는 것을 의미한다.
- 비즈니스 클럽 / 퍼블릭 클럽: 비교적 저렴하고 건전한 분위기를 지향하는 룸살롱의 일종이다.
- 홀복: 룸에서 접대부들이 입는 유니폼을 의미한다.
- 마담: 업소의 여성 관리자를 지칭한다.
- 부장: 업소 내 또 다른 관리 직책을 의미한다.
- 멤버: 마담과 유사하게 업소에 소속되어 접대부를 관리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 츄라이: 접대부가 새로운 업소로 이직할 때 업소 측과 급여 조건 등을 협상하는 것을 의미한다.
- 장타: 술자리가 두 시간 반 이상 길어지는 경우를 의미한다.
- 아베크족 / 도시락: 남녀가 함께 룸살롱에 오는 경우를 일컫는다.
- 물 좋다: (주로 나이트클럽에서 사용) 괜찮은 외모의 이성이 많고 부킹이 잘 되는 상황을 의미한다.
- 푸싱 손님: (주로 나이트클럽에서 사용) 오후 9시 전에 오는 여성 손님으로, 룸 손님 유치를 위한 무료입장 등의 혜택을 받는 경우가 많다.
- 룸장: 룸 손님 부킹을 전문으로 담당하는 종업원을 의미한다.
- 백조: 직업이 없는 여성을 일컫는 은어이다.
- 룸빵: 룸살롱 매니아들이 룸에서 술 마시는 것을 일컫는 속어이다.
3.2. 호스트바 (Host Bar / 호빠)
호스트바는 룸살롱과는 반대로 여성 손님이 남성 접대부의 서비스를 받는 업소이다. 룸살롱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선수’와 ‘작업’이 호스트바에서도 동일하게 사용되며 , 다음과 같은 고유 용어가 있다.
- 박스: 호스트바 관련 업종에서 여러 명의 호스트가 함께 일자리를 구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3.3. 클럽 (Club)
클럽은 유흥 업소의 또 다른 형태로, 룸살롱과는 다른 분위기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공된 자료에서 ‘클럽’ 관련 용어는 소셜 클럽, 골프 클럽, 온라인 커뮤니티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화류계 맥락에서는 주로 나이트클럽이나 감성주점 등을 의미한다. 특히 에서는 소셜 클럽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이 제시되어 있다.
- 클러버: 클럽을 자주 찾는 사람을 의미한다.
- 클러빙: 클러버들이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행위를 의미한다.
- 음지: 이성을 성관계 위주로 만나는 것을 의미한다.
- 양지: 이성과 데이트를 하며 추억을 만드는 일반적인 만남을 의미한다.
- 내상: 이성에게 돈을 쓰며 공을 들였지만 아무런 성과 없이 끝나는 경우를 의미한다.
- 조각: 온라인에서 마음이 맞는 사람이나 같은 지역 사람들이 모여 함께 클럽에 가는 것을 의미한다.
- 엔빵: 더치페이를 의미한다.
- 구장: 클럽, 나이트클럽 등을 가리키는 속어이다.
- 당간: ‘당일 간지’의 줄임말로, 원나잇 스탠드를 의미한다.
- 안타: 홈런에는 실패했지만 어느 정도 진도를 나간 경우를 의미하며, 스킨십과 애프터가 기본으로 포함된다.
- 닥골손: ‘닥치고 골반에 손’의 줄임말로, 이성의 골반에 손을 올리고 부비부비 할 때 쓰는 말이다.
- 역디: 여자가 남자에게 부비부비 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 입뺀: ‘입장 뺀지’의 줄임말로, 복장이나 나이 제한으로 입구에서 입장을 거부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 렐라: 신데렐라처럼 12시가 되면 집에 가는 사람을 의미한다.
- 솔플: 혼자 클럽에 가서 노는 것을 의미한다.
- dyd: ‘들이대’의 약자이다.
- 유갤: 디시인사이드 유흥갤러리의 줄임말이다.
- 클매: 네이버 클럽매니아 카페의 줄임말이다.
- 물빨: ‘물고 빨고’의 줄임말로, 진한 스킨십을 의미한다.
- 좀비: 여자가 거절했음에도 계속 부비부비 하려고 달라붙는 진상을 부르는 말이다.
- 도시락: 클럽 외부에서 가지고 오는 술을 의미한다.
3.4. 다방 (Dabang)
과거에는 다방도 화류계와 연관이 있었으며, 다방에서 일하는 여종업원을 ‘오봉’ 또는 ‘오봉순이’라고 불렀다. 이는 다방이 단순한 찻집 이상의 역할을 수행했음을 시사한다.
3.5. 기타 업소
- 보도방: 접대부를 필요로 하는 업소에 접대부를 공급하는 업체를 의미한다.
- 다찌방: 일본인 손님을 대상으로 접대부를 보내주는 사무실을 의미하며, 일본인 전문 윤락녀를 ‘다찌’라고 부르기도 한다.
- 에스떼: 한국식 마사지 클럽이나 이발소와 유사한 형태의 업소를 의미한다.
- 이 외에도 게이 사우나, 레깅스룸, 오피방, 여관바리, 집창촌, 휴게텔, 단란주점, 유흥주점, 나이트클럽, 트랜스젠더바, 락카페, 카지노 바, 요릿집, 성인 노래방, 멀티방, DVD방, 룸카페, 리얼돌 체험방, 성인 오락실, 귀청소방, 립카페, 안마시술소, 풀싸롱 등 다양한 형태의 유흥업소가 존재하며, 각 업소마다 고유의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일본의 풍속점 용어들도 일부 소개되어 있다.
1. 주요 용어 정의 및 사용
용어 (한국어) | 발음 (로마자 표기) | 정의 (Definition) | 업소 유형 (Type of Establishment) |
---|---|---|---|
티씨 | Tissi | 테이블 차지, 접대부 봉사료 | 룸살롱, 호스트바 |
테이블 손님 | Teibeul Sonnim | 성적 관계 없이 술과 대화 목적 손님 | 룸살롱 |
캔슬 / 뺀찌 | Kaenseul / Bbenjji | 마음에 안 드는 접대부 돌려보냄 | 룸살롱 |
지정 | Jijeong | 특정 업소 정기 출근 접대부 | 룸살롱 |
보도 | Bodo | 접대부 파견 서비스 또는 업체 | 룸살롱 |
지명 | Jimyeong | 단골손님이 찾는 특정 접대부 | 룸살롱 |
작업 / 공사 | Jageop / Gongsa | 돈이나 귀중품 갈취 목적 손님 접근 | 룸살롱, 호스트바 |
애프터 / 이차 | Aepteo / Icha | 업소 후 성적 관계 | 룸살롱 |
와꾸 | Wakku | 외모, 스타일 | 룸살롱 |
스킨쉽 / 피아노 | Skinsyup / Piano | 신체 접촉 | 룸살롱 |
마이킹 | Maiking | 접대부 선불금 | 룸살롱 |
선수 | Seonsu | 호스트바 남성 접대부 | 호스트바 |
에이스 | Ace | 최고 인기 접대부 | 룸살롱, 호스트바 |
슈킹 | Syuking | 손님 속여 금전 갈취 | 룸살롱 |
쵸이스 | Choice | 손님 접대부 선택 | 룸살롱 |
꽁 | Kkong | 손님 못 받은 날 | 룸살롱 |
뒷방탄다 | Dwitbang Tanda | 마감 직전 손님 받음 | 룸살롱 |
싸인 | Ssign | 후불 결제 서명 | 룸살롱 |
도시락 | Dosirak | 여성 동반 손님 (비하) / 출장 성매매 | 룸살롱, 성매매 |
뻐꾸기 날리다 | Ppeokkugi Nallida | 아첨, 농담 | 룸살롱 |
진상 | Jinsang | 문제 일으키는 손님 | 룸살롱 |
1% 업소 | Ilpeosenteu Upso | 최고급 룸살롱 | 룸살롱 |
10% / 20% 업소 | Sippeosenteu / I-sippeosenteu Upso | 수수료율 따른 룸살롱 분류 | 룸살롱 |
따블 / 따당 | Ttabeul / Ttadang | 에이스급 동시 다수 테이블 접대 | 룸살롱 |
쩜오 | Jjeom-o | 10%와 20% 중간 수준 룸살롱 | 룸살롱 |
쓰리 따블 | Seuri Ttabeul | 한 명의 접대부가 세 테이블 동시 접대 | 룸살롱 |
비즈니스 / 퍼블릭 클럽 | Bijeuniseu / Peobeullik Keulleop | 저렴하고 건전한 분위기 룸살롱 | 룸살롱 |
홀복 | Holbok | 룸 접대부 유니폼 | 룸살롱 |
마담 | Madam | 여성 관리자 | 룸살롱, 호스트바 |
부장 | Bujang | 남성 관리자 (추정) | 룸살롱 |
멤버 | Membeo | 접대부 관리자 | 룸살롱 |
츄라이 | Churai | 이직 시 급여 협상 | 룸살롱 |
장타 | Jangta | 2시간 반 이상 긴 술자리 | 룸살롱 |
아베크족 / 도시락 | Abeceu-jok / Dosirak | 커플 손님 | 룸살롱 |
물 좋다 | Mul Jota | (나이트클럽) 매력적인 이성 많음 | 나이트클럽 |
푸싱 손님 | Pushing Sonnim | (나이트클럽) 무료입장 여성 손님 | 나이트클럽 |
룸장 | Rumjang | 룸 손님 부킹 담당 직원 | 나이트클럽 |
백조 | Baekjo | 무직 여성 (은어) | 일반 |
룸빵 | Rumbbang | 룸살롱에서 술 마시는 행위 (속어) | 룸살롱 |
박스 | Bakseu | 호스트 구직 그룹 | 호스트바 |
클러버 | Keulleobeo | 클럽 마니아 | 클럽 |
클러빙 | Keulleobing | 클럽에서 춤추는 행위 | 클럽 |
음지 | Eumji | 성관계 위주 이성 만남 | 클럽 |
양지 | Yangji | 데이트 위주 이성 만남 | 클럽 |
내상 | Naesang | 성과 없는 이성에게 돈 씀 | 클럽 |
조각 | Jogak | 함께 클럽 가는 그룹 | 클럽 |
엔빵 | Enppang | 더치페이 | 클럽 |
구장 | Gujang | 클럽, 나이트클럽 (속어) | 클럽 |
당간 | Danggan | 원나잇 스탠드 (은어) | 클럽 |
안타 | Anta | 스킨십, 애프터 포함 일부 진전 | 클럽 |
닥골손 | Dakgolson | 골반 터치 (속어) | 클럽 |
역디 | Yeokdi | 여자 쪽에서 부비부비 | 클럽 |
입뺀 | Ibppean | 입장 거부 | 클럽 |
렐라 | Rella | 12시 귀가자 | 클럽 |
솔플 | Solpeul | 혼자 클럽 가기 | 클럽 |
dyd | Dyd | 들이대 (약자) | 클럽 |
유갤 | Yugael | 유흥 갤러리 (약자) | 온라인 커뮤니티 |
클매 | Keulmae | 클럽매니아 카페 (약자) | 온라인 커뮤니티 |
물빨 | Mulppal | 진한 스킨십 (속어) | 클럽 |
좀비 | Jombi | 거절에도 계속 들이대는 사람 (속어) | 클럽 |
오봉 | Obong | 다방 여종업원 | 다방 |
보도방 | Bodobang | 접대부 공급 업체 | 룸살롱 |
다찌방 | Dachibang | 일본인 대상 접대부 파견 사무실 | 룸살롱 |
에스떼 | Eseute | 한국식 마사지 클럽/이발소 유사 업소 | 기타 |
1. 화류계 용어의 사회경제적 함의
화류계 용어는 업소 내에서 손님, 접대부, 관리자 간의 권력 관계를 반영한다. 예를 들어, ‘지정’과 ‘쵸이스’는 손님이 접대부를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나타내는 반면, ‘캔슬’은 접대부에 대한 손님의 우위를 보여준다. ‘마이킹’과 같은 용어는 업소와 접대부 간의 경제적 종속 관계를 드러내며, 선불금을 통해 접대부가 업소에 묶이는 구조를 설명한다.
성매매와 같은 민감한 주제는 ‘애프터’나 ‘이차’와 같은 완곡어법이나 ‘@’와 같은 기호로 표현되어 직접적인 언급을 피하는 경향이 있다. ‘티씨’, ‘마이킹’, ‘슈킹’과 같은 금융 관련 용어들은 이 산업의 경제적 구조와 돈의 흐름을 명확히 보여준다.
반면, ‘진상’이나 ‘슈킹’과 같은 용어는 업소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과 착취의 가능성을 암시한다. 한국 화류계 시장의 거대한 규모는 이러한 용어들이 단순한 은어를 넘어 사회 경제적 의미를 지니는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6. 대중문화 및 온라인 담론에서의 화류계 용어
화류계 용어는 소설 , 영화 , 온라인 커뮤니티 등 다양한 대중 매체에서 사용되며, 이 하위문화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관심을 반영한다. 특히 ‘쩜오’와 같은 용어는 사회적으로 논란을 일으키며 주류 담론에 진입하기도 했다. ‘밤바다넷’ , ‘달리머넷’ 과 같은 온라인 커뮤니티는 화류계 정보와 경험을 공유하는 플랫폼 역할을 하며, 내부적으로 특정 용어들을 사용한다.
심지어 청소년 대상 성매매 유인 및 알선 콘텐츠에서도 화류계 용어가 사용되는 사례는 이러한 용어들이 사회 곳곳에 침투해 있음을 보여준다. 유튜브와 같은 플랫폼에서는 화류계 경험자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공유하며 관련 용어들을 설명하기도 한다. 이는 화류계가 비록 음지에 가려진 부분이 있지만, 상당한 수준으로 대중에게 인지되고 논의되는 주제임을 시사한다.
7. 결론
본 보고서는 제공된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화류계 용어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시도했다. 화류계 용어는 일본 유곽에서 유래되어 한국 사회로 유입된 후 다양한 업소 형태와 사회적 맥락 속에서 고유한 의미와 사용법을 발전시켜 왔다.
룸살롱, 호스트바, 클럽, 다방 등 각기 다른 유형의 업소들은 특색 있는 용어들을 사용하며, 이는 해당 공간의 사회적 역동성, 경제적 구조, 그리고 그곳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관계를 반영한다.
완곡어법과 은어의 사용은 민감한 주제를 다루는 방식을 보여주며, 금융 관련 용어들은 산업의 경제적 현실을 드러낸다. 또한, 이러한 용어들이 대중문화와 온라인 담론에서 활발하게 사용되는 것은 화류계가 한국 사회의 한 단면으로서 존재하며, 이에 대한 이해는 한국 사회와 문화를 보다 깊이 있게 탐구하는 데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화류계 용어 연구는 한국 사회의 복잡하고 때로는 숨겨진 부분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